빨래방:쌉소리
LAUNDERETTE:What The Fxxk
반복적인 삶의 패턴 안에서 온전히 나를 위한, 나에 의한, 나에 대한 시간
공적공간과 사적공간이 함께 공존하는 빨래방의 공간성을 통해 삶의 여유를 느낄 수 있는 최소한의 공간과 개인의 시간에 대해 상상해본다.
별로 특별함이 없는, 대단히 거창한 일이 벌어지지 않는 매일매일의 반복적인 삶 속에서 "나만의 공간 속 나만의 시간"은 평범함 속에 삶의 운율을 만들어 낸다.
A Time for Myself, by Myself, and About Myself Amid the Treadmill of Life.
Imagine the minimum space and me-time to appreciate life in a launderette where public and private spaces coexist.
On a treadmill of life where nothing special happens, me-time in the space of my own creates a rhythm in ordinary life.
Tour Size : 6 performers, 3 staff members
Stage size : W 10m x D 8m, side space (depending on theater conditions)
Duration : 55min
Premiered : <빨래방> / 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 Arko Arts Theater, Small hall
2024 PAMS CHOICE Showcace / 국립극장 달오름극장 National Theater of Korea Daloreum Theater, Seoul, Korea
2023 <빨래방:쌉소리> / 대학로예술극장 소극장 Deahakro Arts Theater, Small hall, Seoul, Korea
: 접근성공연 제작 아르코대학로예술극장 Accessible Performances
2022 Premiered <빨래방> / 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 Arko Arts Theater, Small hall, Seoul, Korea
2023 제29회 무용예술상 '주목할 만한 시선상' 29th Dance Arts Awards 'a certain glance'
“이 작품은 한동안 ‘현대인’의 ‘소외’를 ‘동시대’적으로 풀어낸 작품들의 상단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This work will rank among the top pieces that contemporarily address the alienation of modern individuals.”
윤단우, 공연칼럼니스트, 댄스포스트코리아 Yoon Danwoo, performance columnist, Dance Post Korea
“이러한 영상과 춤의 만남은 극장이라는 제한된 공간을 확장하는 매체로 영리하게 사용된 경우요, 작품 속에 등장하는 인물의 심리와 상황을 극명하게 느낄 수 있게 밀착해서 보여준 긍정적 사례가 아닌가 싶다.”
“The fusion of video and dance cleverly utilizes the medium to expand the limited space of the theater. It serves as a positive example of how to vividly convey the psychology and circumstances of the characters within the work.”
박성혜, 무용평론가, 몸지 Park Seong-hye, dance critic , MOM
“무대장치와 오브제, 영상(댄스필름), 음악 그리고 움직임에서는 감각적이면서도 감성적인 요소를 한껏 분출한다. 이러한 요소들의 어우러짐이 독특한 뉘앙스를 확립하면서 남과는 섞이지 않은 그녀만의 차별화된 예술성으로 새겨지는 것이다.”
심정민, 한국춤평론가회 회장, 댄스포럼







